지난 시리즈에서는 유방암의 영상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유방촬영술에서 나타나는 미세석회화와 종괴의 특징부터 유관암과 소엽암의 차이점까지, 유방암 진단의 기본적인 틀을 이해했습니다.
2025.04.16 - [분류 전체보기] - [시리즈 ①] 유방암의 종류와 분류 기준 총정리: 진단부터 치료까지
[시리즈 ①] 유방암의 종류 알아보기: 영상과 조직으로 구분하는 유방암 유형
처음 유방암 진단을 받고는 유방암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유방암 이야기'라는 네이버 커뮤니티에 가입했습니다. '삼중양성', '허투양성', '브라카' 등 알아듣기 어려운 용어들이 가득한 그곳의
namusignal.com
이번 시리즈에서는 현대 유방암 치료의 핵심이 되는 '분자적 분류'와 '각 아형별 맞춤 치료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동일한 조직학적 유형의 유방암이라도 분자적 특성에 따라 예후와 치료 방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중요 안내: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유방암 관련 진단, 치료, 관리에 관한 결정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신 후 이루어져야 합니다.
목차
- 분자적 분류란 무엇인가?
- 유방암 세포의 특별한 신호체계
- 유방암의 주요 4가지 유형과 특징
- 각 유형별 특성과 예후
- 유방암 분자적 분류의 최신 동향
- 분자적 분류의 중요성과 의미
1. 분자적 분류란 무엇인가?
■ 유방암, 같은 이름이지만 다른 얼굴을 가진 질환
유방암은 하나의 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러 질환의 집합체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유방 종양이더라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이나 유전자의 차이로 인해 성장 속도,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 정도, 전이 가능성 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분자적 분류의 기준이 되는 세 가지 표지자
유방암의 분자적 분류는 주로 세 가지 중요한 표지자를 확인하여 이루어집니다:
(1)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결합하는 수용체
(2)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또 다른 여성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이 결합하는 수용체
(3) 인간 상피성장인자 수용체 2(HER2): 세포 증식과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
이 세 가지 표지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유방암은 크게 네 가지 주요 유형(루미널 A형, 루미널 B형, HER2 양성형, 삼중음성형)으로 나뉩니다.
2. 유방암 세포의 특별한 신호체계
유방암 세포는 마치 사람처럼 '수신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수신기들은 호르몬이나 성장인자와 같은 특정 신호를 받아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거나 억제합니다.
■ 호르몬 수용체의 역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마치 문의 열쇠구멍처럼 작용합니다. 혈액 속 호르몬이 이 '열쇠구멍'에 들어맞으면 세포 내부에 신호가 전달되어 세포 성장과 분열이 촉진됩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이러한 신호체계에 의존하여 성장합니다.
■ HER2(허투)의 역할
HER2는 세포 표면에 위치한 또 다른 형태의 '안테나'로, 성장인자가 결합하면 강력한 성장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합니다. 일부 유방암에서는 이 HER2가 과도하게 많이 발현되어 있어(과발현) 세포가 지속적으로 성장 신호를 받게 됩니다.
3. 유방암의 주요 4가지 유형과 특징
과거에는 유방암의 분자적 특성을 단순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호르몬성), HER2 양성(허투양성), 삼중양성, 삼중음성으로 분류했습니다. 이는 세 가지 주요 생체지표(ER, PR, HER2)의 존재 여부에 기반한 실용적인 분류법으로 현재도 일부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과거 분류 체계 (생체표지자 기반)
*ER: 에스트로겐 / *PR: 프로게스테론
분류 | 여성호르몬 | HER2 (허투) |
발생 비율 |
비고 | 주요 치료법 | |
*ER | *PR | |||||
호르몬 수용체 양성 (호르몬성) |
+ | +/ ― | 음성 | 약 60% | 성장 속도가 비교적 느림 | 호르몬 치료 중심 |
HER2 양성 (허투양성) |
― | ― | 양성 | 약 20% | 공격적 특성, 빠른 성장 | HER2 표적치료 + 기타 치료 |
삼중양성 | + | + | 양성 | 약 10% | 여러 치료 옵션 적용 가능 | 호르몬 + 항암 + HER2 표적치료 |
삼중음성 | ― | ― | 음성 | 15-20% | 가장 공격적, 치료 옵션 제한적 | 항암치료 + 면역요법 |
■ 현대적 분자 분류 체계 (유전자 발현 기반)
유방암 연구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분류는 더욱 정교하게 세분화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의 연구를 시작으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통해 유방암의 '내재적 아형(intrinsic subtype)'이라는 새로운 분류 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러한 세분화된 분류는 보다, 암의 생물학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여 개인화된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분자적 유형 |
ER |
PR | HER2 | Ki-67 | 발생비율 | 특징 | |
루미널 A | + | + | ― | 낮음(<14%) | 약 40% | 천천히 자라는 유형, 예후 매우 좋음 | |
루미널 B | + | +/― | +/― | 높음(≥14%) | 약 20% | 중간 속도로 자라는 유형, 예후 양호 | |
HER2 양성 | ― | ― | + | 높음 | 약 15% | 빠르게 자라는 유형, 표적치료 효과 좋음 | |
삼중음성 | ― | ― | ― | 높음 | 약 25% | 가장 공격적인 유형, 많은 관리가 필요 |
(1) 루미널 A형(Luminal A) - "천천히 성장하는 온순한 유형": ER/PR 양성, HER2 음성, Ki-67 낮음
루미널 A형은 가장 흔한 유방암 유형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특징 | 임상적 특성 |
|
|
(2) 루미널 B형 (Luminal B) - "중간 속도로 성장하는 유형": ER/PR 양성, HER2 양성 또는 음성, Ki-67 높음
루미널 B형은 전체 유방암의 약 20%를 차지하며, 루미널 A형보다 공격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이지만 세포 증식이 더 활발합니다.
특징 | 임상적 특성 |
|
|
(3) HER2 양성형 유방암 - "성장 신호가 과도한 유형": ER/PR 음성, HER2 양성
HER2 과발현형은 전체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합니다. 이 유형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이면서 HER2가 과발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징 | 임상적 특성 |
|
|
(4) 삼중음성형 유방암 - "가장 공격적인 유형": ER/PR 음성, HER2 음성
삼중음성 유방암은 ER, PR, HER2가 모두 음성인 유형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25% 정도를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공격적인 유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 | 임상적 특성 |
|
|
4. 각 유형별 예후 및 자연 경과
유방암의 분자적 유형에 따라 예후와 자연 경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는 각 유형별 생존율과 재발 패턴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분자 아형 |
5년 생존율 | 10년 생존율 | 주요 전이 패턴 | 재발 시기와 패턴 |
루미널 A | 약 95% 이상 | 약 80-90% | 뼈, 림프절 | 재발률이 낮으며, 있더라도 주로 5년 이후에 발생 |
루미널 B | 약 85-90% | 약 65-75% | 뼈, 간, 폐 | 조기 및 후기 재발 모두 가능 |
HER2 양성 | 약 80-85% (표적치료제 도입 후) |
약 55-65% | 간, 폐, 뇌 | 주로 조기 재발(3년 이내), 표적치료로 크게 개선됨 |
삼중음성 | 약 70-75% | 약 50-60% | 폐, 뇌, 간 | 대부분 3년 이내 조기 재발, 3년 이후 재발은 상대적으로 드묾 |
분자적 분류는 단순히 진단적 의미를 넘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내 암 전문의들은 개인화된 치료 계획 수립에 이 분류 체계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5. 유방암 분자적 분류의 최신 동향
유방암 분류 체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더 정밀한 분류와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HER2-low: 새롭게 주목받는 유방암 유형
최근에는 HER2 발현 정도를 더 세분화하여 'HER2-low'라는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이는 기존에 HER2 음성으로 분류되던 유방암 중에서 HER2가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경우(IHC 1+ 또는 2+/FISH 음성)를 말합니다.
- HER2 음성으로 분류되던 유방암 중에서 약 45-55%가 HER2-low에 해당
-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경우가 많음
- 새로운 형태의 표적치료제 개발로 치료 옵션이 확대되고 있음
■ 삼중음성 유방암의 세분화
단일 질환으로 여겨졌던 삼중음성 유방암도 이제는 여러 하위 유형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 기저양(Basal-like): BRCA 변이와 연관성 높음
- 면역 반응형: 면역체계 관련 유전자 발현 높음
- 중간엽형: 세포 이동과 분화 관련 유전자 발현
- 안드로겐 수용체 양성형: 남성 호르몬 수용체 발현
6. 분자적 분류의 중요성과 의미
■ 맞춤형 치료 계획의 기초
유방암의 분자적 분류는 단순한 분류 체계를 넘어, 각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기초가 됩니다.
- 루미널 A형: 호르몬 치료가 주된 치료법, 항암치료는 제한적으로 사용
- 루미널 B형: 호르몬 치료와 항암치료 병용, HER2 양성인 경우 표적치료 추가
- HER2 양성형: 표적치료제와 항암치료 병용이 표준
- 삼중음성형: 항암치료가 주된 치료법, 면역항암제 등 새로운 치료법 개발 중
■ 예후 예측의 정확성 향상
분자적 분류는 유방암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임상 연구와 신약 개발의 방향성 제시
분자적 분류는 새로운 치료법과 약물 개발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최근 유방암 치료제 개발은 각 분자 아형의 특성을 표적으로 하는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리즈를 통해 유방암은 더 이상 하나의 질환이 아닌,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과 치료 반응을 보이는 여러 아형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질환군임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자신의 암이 어떤 분자적 아형에 속하는지, 어떤 치료 옵션이 있는지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루미널 A형, 루미널 B형, HER2 양성형, 삼중음성형의 분자적 특징과 각각에 맞는 치료 전략은 유방암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 HER2 표적치료, 면역항암제, 항체-약물 복합체 등 각 아형별 맞춤형 치료 옵션은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앞으로도 계속될 연구와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로 유방암 환자의 예후는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밀 의학과 분자 타겟팅의 발전은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발전의 한가운데에 서 있습니다.
**추천 참고자료**
1. St. Gallen 국제 컨센서스 가이드라인 (2021)
가장 최신 유방암 분류 및 치료 기준을 제시합니다.
링크: https://www.europadonna.org/pdf/St.Gallen-2021-Consensus-Guidelines.pdf
2. ESMO 임상 진료 가이드라인 (2024)
유럽종양학회(ESMO)의 최신 가이드라인으로, 아시아 환자에 맞게 조정된 버전도 있습니다.
링크: https://www.esmo.org/guidelines/paga/paga-for-early-breast-cancer-2024
3. 분자적 아형에 따른 예후 영향 연구
특히 중추신경계 전이와 관련된 분자적 아형의 영향에 대한 최신 연구.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16-019-0619-y
4. HER2-low 유방암에 관한 연구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HER2 상태의 예후적 영향에 관한 연구.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4-75293-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제 유방암이 어떤 유형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유방암 유형은 진단 과정에서 시행한 조직 검사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가장 정확한 결과는 수술 후 병리과의 최종 진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담당 의사는 ER(에스트로겐 수용체), PR(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검사 결과와 함께 유방암의 분자적 유형을 설명해 줄 것입니다. 의사의 설명을 들었다 하더라도 쉽게 잊어버릴 수 있으니 병원 원무과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직검사 결과지를 발급받아 확인하시고 기록해 두실 것을 권장합니다.
Q2: 한 가지 유형에서 다른 유형으로 변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특히 초기 유방암이 전이되거나 재발했을 때, 약 10-30%에서 유형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발이나 전이가 의심될 경우, 새로운 조직 검사를 통해 유형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유방암 커뮤니티의 한 회원의 경우는 양측 유방암이 서로 다른 유형으로 진단되었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Q3: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가 어렵다고 들었는데, 희망이 없는 건가요?
A: 삼중음성 유방암이 다른 유형에 비해 치료가 까다롭긴 하지만, 결코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 면역항암제, 항체-약물 복합체, PARP 억제제 등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면서 삼중음성 유방암의 치료 성적이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또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Q4: 분자적 분류 외에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는 다른 방법도 있나요?
A: 네,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전자 발현 검사(Oncotype DX, MammaPrint 등)를 통해 더 정밀한 예후 예측과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검사는 특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항암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추가 검사가 있는지 알아보세요.